[기본개념] 2. IP Subnet
in Concept on Management
이 글은 방화벽 운영에 필요한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입니다.
IP Subnet
IP Subnet 이란, IPv4의 주소 체계 상에서는 42억개 가량의 주소가 있으며, 이 주소들을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개념이다. 또한, 적절하게 네트워크를 분배해 주어 내, 외부 또는 네트워크 도메인 간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라우팅 해주는 개념이다.
1. Subnetting
Classful Addressing이라 불리며, 클래스를 기반으로 IP 주소 대역을 구분한다.
클래스 기반의 주소지정
클래스 | 비트 | 대역 | 사용 |
---|---|---|---|
A | 첫 비트 0 | 0 ~ 127 | 큰 규모의 네트워크 |
B | 두 비트 00 | 128 ~ 191 | |
C | 세 비트 110 | 192 ~ 223 |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
D | 네 비트 1110 | 224 ~ 239 | 멀티캐스트용 |
E | 네 비트 1111 | 240 ~ 255 | 예약된 주소 |
서브넷 마스크에서 2진수의 1로 표시된 부분은 Network ID로 사용하며, 2진수의 0으로 표시된 부분은 Host ID로 사용한다. IP주소 192.168.32.0과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128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자.
Subnetting 계산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
192.168.32.234 | 255.255.255.128 |
11000000. 10101000. 00100000. 11101010 | 11111111. 11111111. 11111111. 10000000 |
서브넷 마스크의 1로 표시된 위치는 IP 주소에서 11000000. 10101000. 00100000. 1 까지 이다. 이를 10진수 표기로 변환하면 192.168.32.128이며 이 주소는 Network ID가 된다. 위 IP 주소에서 Host ID는 192.168.32.234에서 192.168.32.128을 뺀 106이다.
2. CIDR
클래스를 할당받아 사용할 때 호스트의 수가 부족하면 IP를 낭비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나온 개념이 클래스없는 주소지정(Classless Addressing)이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며 할당된 IP주소 대역을 가변적이며 효율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는 시스템이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이다. 사이더라고 불리며 192.168.0.1/24 라고 표기한다. 슬래시 구분자 뒤에 나오는 표기법이다. BGP-4, RIPv2, OSPF 등 최근에 나온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CIDR을 지원해준다.
위 표2번의 자료를 다시 사용하면 해당 IP주소의 CIDR은, 서브넷 마스크의 1로 표기된 자릿수 만큼인 /25이다.